본문 바로가기

환경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경영을 하겠습니다.

기후변화 거버넌스 체계

SK네트웍스는 LPG 사업 양도(2017), 석유제품 도매사업 양도(2017년), 호주 석탄 사업 철수(2019년), 석유제품 소매사업 양도(2020년 3월) 등을 이사회에서 의결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감축하는 방향으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조정해 왔습니다.
2021년 3월,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 관련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이사회 의결로 CEO와 사외이사 5인으로 구성된 ’ESG 경영위원회’를 신설하였으며, 2022년 5월부터는 이사회 전원이 ESG경영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Governance

기후변화 Governance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기후변화 Governance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BOD - (주재 ESG경영위원회 구성 : 이사회 멤버 (사내이사 2인, 기타비상무이사 1인, 사외이사 5인) / 역할 : 환경, 사회적 가치 및 회사의 지배구조와 관련된 전략 및 주요사항을 검토/분석을 통한 주요 의사결정 사항 사전 심의) → CEO - (주재 1.전사ESG추진위원회 구성 : CEO, 사업총괄, 경영지원본부장, 지속경영실장(위원장), 기업문화실장, 재무실장, 기획실장, SV추진실장(간사), 감사팀장 / 역할 : ESG전략 실행력 강화, BM전략(자회사 포함)과 ESG방향성 연계, ESG경영 활동 점검 및 논의를 통한 ESG 경영 내재화) (주재 2.환경 CoE 구성 : CEO, SV추진실장, 사업별(자회사) SV/ESG 담당 직책자/실무자, 전략팀원, SV추진 1,2팀 / 역할 : Net Zero 2040 추진(감축방안 도출), 환경 Data 측정 분석, 사업별 환경 경영 체계 내재화 및 전문성 확보) (주재 3.SV보드(환경 CoE 연계) 구성 : CEO, SV추진실장, 사업별(자회사) SV/ESG 담당 직책자/실무자, 전략팀원, SV추진 1,2팀 / 역할 : 사업별 SV 중점 추진과제 및 진행 현황 공유, SV/ESG Trend 공유 및 대응방안 논의, Stakeholder Account 진행사항 공유) → SV추진실 → SV 추진1팀, SV 추진2팀 (Net Zero 2040 추진 실무 조직, 국내외 환경 관련 이니셔티브(SBTi, CDP, (K-)EV100, K-RE100, ZWTL, TCFD) 참여/운영, 환경 Data(온실가스, 에너지, 용수, 폐기물 등) 측정/분석)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에 대한 이사회 관리·감독 설명

SK네트웍스는 기후변화를 포함한 지속가능성 이슈를 중요한 의사결정 사안으로 인식하고, 통합적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21.3월 이사회 내 ESG경영위원회를 설치하였습니다. 이후 ESG경영위원회에서 사전 검토된 안건들은 이사회에서 최종 의사 결정하도록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습니다.

<기후 변화 이슈 논의 현황>
ESG경영위원회는 '21년 총 2회, '22년에는 8월까지 3회 기후변화 관련 이슈에 대하여 논의 및 심의하였습니다.

기후 변화 이슈 논의 현황 표 입니다. 이 표는 구분, 회차, 개최일자, 주요안건, 세부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회차 개최일자 주요안건 세부내용
2021 1회차 06월 18일 SK네트웍스의 과거와 현재, Value_up 방향성 Workshop Net Zero 2040 추진(案)
3회차 07월 29일 민팃사업부 현물출자의 건 순환경제 구축을 통한 환경적 가치 창출 확대
2022 2회차 03월 08일 2022년 경영계획 승인의 건 Net Zero 2040 실행력 강화, SBTi 참여 등
3회차 04월 28일 2022년 CEO KPI 수립의 건 온실가스 배출량 및 ESG 핵심지표 반영
4회차 08월 19일 전기자동차 충전사업 투자 승인의 건 EV충전 인프라 확대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

SK네트웍스는 ESG경영위원회 소속 사외이사의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돕고, ESG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워크샵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1년에는 직책자 Biz. Comm. Day를 통해 ESG 금융, 탄소중립 및 기후 관련 재무 공개 태스크포스(TCFD) 권고안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21년 5월), SK네트웍스 환경 컨설팅 결과를 공유('21년 9월) 하였습니다.

또한, ‘21년 6월에 실시한 제1차 ESG경영위원회를 통해 ESG와 연계된 BM의 Value Up 방향 및 NetZero 2040 목표를 보고하였고, '22년 7월에 실시한 ESG경영위원회 워크샵에서는 SK네트웍스의 상반기 탄소배출량 감축과 ESG 관련 지표 달성 성과를 보고하는 자리를 가짐으로써 국내외 기후변화 이슈 관련 동향 및 규제 현황과 SK네트웍스의 환경 경영 현황과 방향성 및 실천과제 등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이사회 구성원의 기후변화 및 환경 이슈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고, 의사결정 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에 대한 경영진의 관리·감독 설명

SK네트웍스는 CEO를 포함한 주요 경영층이 참석하는 전사ESG추진위원회를 '21년 8월부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사ESG추진위원회는 위원 8인 외 자회사 대표 및 사업부장도 배석하며, 기후변화 관련 이슈 및 동향, 이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요소, 대응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합니다.

<기후변화 이슈 논의 현황>
전사ESG추진위원회에서는 '21년 2회, '22년 11회 기후변화 및 환경 관련 이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기후변화 이슈 논의 현황 표 입니다. 이 표는 구분, 회차, 개최월, 주요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회차 개최월 주요내용
2021 1회차 8월 · 글로벌 이니셔티브 가입 (SBTi, ZWTL, EV100, WWF PACT 소개 및 참여 논의)
· EU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 소개 및 대응 방안
2회차 9월 · '21년 2Q ESG 성과 Report
· SK네트웍스 환경 컨설팅 결과 공유
2022 1회차 1월 · SBTi 가입 추진 계획
2회차 2월 · ESG 주요 동향 - MSCI '22년 10대 ESG Trend, BlackRock 연례 서한, 탄소중립기본법 소개
· ESG 과제 조직별 KPI 수립(탄소 배출량 감축)
3회차 3월 · ESG 주요 동향 - EU 지속가능성 실사법 초안, EU 재생에너지 확보 가속화, 신정부 탄소중립 정책 방향
4회차 4월 · ESG 주요 동향 - SEC 기후공시 의무화, IFRS-I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수정안 등
5회차 5월 · 협력사 ESG 개선 지원 프로그램
· ESG 주요 동향 - KSSB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정책 제언,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대체식품 등
6회차 6월 · 워커힐 ESG 전략과제 진행 현황 (폐기물 감축 및 재활용률 제고 방안)
7회차 7월 · ESG Signpost - 그룹 핵심지표, 탄소 배출량 감축, EV 전환
· 한국 TCFD Alliance 참여 현황
8회차 8월 · ESG Signpost - 그룹 핵심지표, 탄소 배출량 감축, EV 전환
· ESG 주요 동향 - 물 재무평가 이니셔티브(VWFI) 출범, Global 전기차 충전소 합종연횡,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 최고의 기후 투자는 대체단백질 투자
9회차 9월 · ESG Signpost - 그룹 핵심지표, 탄소 배출량 감축, EV 전환
· 그룹 ESG 핵심지표 2Q 성과
10회차 10월 · ESG Signpost - 그룹 핵심지표, 탄소 배출량 감축, EV 전환
· 그룹 ESG 핵심지표 개선 방안
11회차 11월 · ESG Signpost - 그룹 핵심지표, 탄소 배출량 감축, EV 전환
· ESG 주요 동향 - 삼성전자 RE100 가입, COP27 개막
· ’22년 그룹 ESG 핵심지표 성과 Report 공유
· [외부강연] 변화하는 세계와 Global Perspective


또한, CEO 직속의 SV(Social Value)추진실을 두어 전사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Management System 개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SV추진실은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를 분석, 평가하고, 기후 변화 관련 이슈 및 전략 수립, 기타 성과에 대해 CEO에게 직접 보고하고 있습니다.


SV추진실은 '20년부터 ESG 이슈를 다루는 전사 협의체인 SV Board를 운영하고 있으며, '22년에는 Net Zero 2040 선언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활동 가속화, 환경경영 강화 및 사내 환경 전문가 양성을 위해 환경 CoE(Committee of Experts)를 신설하고, SV Board와 함께 격월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 CoE에서는 CEO, BU별(자회사 포함) 직책자/실무자 중심으로 사업별 Net Zero 2040 추진 현황, 기후관련 주요 리스크, 기회를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의 개선/혁신 사례에 대해 공유하고, 외부 전문가 강연 등을 통해 환경 전문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Net Zero 2040

SK네트웍스는 2021년 6월 Net Zero 2040 선언 후 2022년 9월 SBTi에 가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진정성 있게 추진하고자 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및 Net Zero 2040 시나리오(단위: 천tCO2eq)

온실가스 배출량 및 Net Zero 2040 시나리오 이미지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온실가스* 배출량 및 Net Zero 2040 시나리오 이미지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온실가스 배출량* 및 Net Zero 2040 시나리오 (단위: 천tCO2eq)
  • 2021년 실적 - 45.6(감축 경로)
  • 2022년 - 47.1(감축 경로) / 51(BAU**) *감축량 : 3.5(RE100감축), 0.3(설비 효율화), 0.1(전기차 전환)으로 총 3.9천 톤 감축
  • 2025년 - 41.3(감축 경로) / 52.7(BAU**)
  • 2031년 - 26.5(감축 경로) / 56.3(BAU**) *2021년 실적 대비 42% 감소
  • 2035년 - 13.4(감축 경로) / 58.7(BAU**)
  • 2040년 - 0(감축 경로) / 61.9(BAU**)
SK네트웍스 감축량 목표

*Scope 1 & Scope 2 배출량(Scope 3 제외)
**Business-as-Usual

  • 대상회사: 총 8개 사(자손회사 포함)

    SK네트웍스, SK네트웍스서비스, SK매직, SK매직서비스, SK렌터카, SK렌터카서비스, 민팃, 카티니

  • SBTi 1.5℃ 시나리오 기준 적용 (매년 4.2% 이상 감축)

    기준연도 : 2021년

    2022~31년 연평균 4.2% 감축, 2032~40년 연평균 6.4% 감축

    2022년 9월 SBTi에 참여하고, Near term 및 Net Zero 목표 제출 후 검증 대기 중

  • 연료 전환, 업무용 차량 전기차 전환, 에너지 효율 개선/시설 투자, 재생에너지 사용 및 신규 Tech 개발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실행

온실가스 배출 현황

온실가스 배출 현황 표 입니다. 이 표는 (tCO2eq, 2022년 1Q, 2022년 2Q, 2022년 3Q, 2022년 3Q 누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CO2eq) 2022. 1Q 2022. 2Q 2022. 3Q 2022. 3Q 누계
Scope 1 4,261 2,602 2,442 9,306
Scope 2 7,682 6,883 8,535 23,099
Scope 1&2 11,943 9,485 10,977 32,405

※ 녹색 프리미엄 반영 배출량

2022년 상반기에는 전기차 전환, 태양광 패널 설치, 노후 설비 교체 및 운영 효율화 등 직접 감축을 통해 약 0.3천 톤, 녹색 프리미엄을 활용한 간접 감축을 통해 약 1.7천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습니다.

Net Zero 2040 달성을 위해 매월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 및 감축 방안을 점검하여 실행력을 제고하고 있으며, 전사ESG추진위원회 및 환경 Coe & SV Board를 통해 경영층과 성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재생 에너지 전환 달성 계획

2040년까지 재생 에너지 100% 전환을 목표로 하며 REC구매, 제3자PPA, 태양광 에너지 사용 등을 기반으로 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였습니다.

2040 RE100 Roadmap

2040 RE100 Roadmap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2040 RE100 Roadmap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2040 RE100 Roadmap (REC구매, 제3자 PPA, 태양광)
  • 2020년
  • 2025년 - 15.6%
  • 2030년 - 32.1%
  • 2035년 - 68.4%
  • 2040년 - 100%
SK네트웍스 감축량 목표

재생에너지 사용량

재생에너지 사용량 표 입니다. 이 표는 (MWh), 2022. 1Q, 2022. 2Q, 2022. 3Q, 2022. 3Q 누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Wh) 2022. 1Q 2022. 2Q 2022. 3Q 2022. 3Q 누계
자가발전* 31 56 96 184
녹색 프리미엄 1,845 1,845 1,942 5,632
총 사용량 1,876 1,901 2,038 5,816

* 태양광

EV100 Roadmap

EV100 Roadmap 표 입니다. 이 표는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1 '22
ev전환 2022 표 입니다. 이 표는 '22.9월(누계), 목표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2.9월(누계) 목표비
5.4% -
'23 '24 '25 '26 '27 '28 '29 '30
2.2% 5.0% 9.6% 16.3% 24.9% 36.8% 53.0% 70.3% 84.9% 100%

※ K-EV100 제출 기준과 동일

전기차 전환 실적

전기차 전환 실적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전기차 전환 실적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전기차 전환실적
  • '21 전환 실적 3.1%
  • '22 전환 목표 5.0%
  • '22년 9월 말 전환 실적 5.4%
  • '22년 전환 전망 6.1%
전기차 전환 실적

친환경(기후변화) 교육 실시

SK 네트웍스 구성원*들은 ‘mySUNI’라는 SK그룹 교육 플랫폼을 통해 ESG 전반에 걸친 영역부터 탄소 중립, 자원 순환, 수소 에너지 등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친환경 사업 모델로의 연계까지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있습니다.
2021년 전 구성원 기준, 구성원 당 9.2시간의 환경 교육을 이수하였습니다.
*계약직 포함, 워커힐 구성원 제외

사이트맵